주민등록등본이나 졸업증명서, 소득금액증명원 발급 카카오톡에서 쉽고 간편하게 서류들을 받을 수 있는 방법. 카카오톡 지갑 만드는 방법, 카카오톡에서 소득금액증명 전자증명서 발급받아서 기관에 보내고 확인하는 방법 설명입니다.
카톡 전자증명서 발급하고 보내는 방법(ft. 소득금액 증명원)
오늘은 카카오톡 전자증명서가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그리고 왜 좋은지 소득금액증명원을 예를 들어 설명할게요.
소득금액증명원 전자증명서 카톡으로 발급받고 보내는 방법
전자증명서는 쉽게 말해 종이 서류를 디지털 형태로 바꾼 것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예전에는 주민등록등본은 주민센터에서 종이로 발급받거나 정부 24에서 발급받았죠. 지금은 카카오톡으로 주민등록등본을 전자문서 형태로 받을 수 있어요!
이렇게 전자문서 형태로 발급받은 서류를 전자증명서라고 부르는 거예요. 전자증명서는 위조나 변조가 어렵도록 안전하게 만들어졌기 때문에 종이 서류보다 훨씬 믿을 수 있어요
#1. 카카오톡 전자증명서(소득금액증명원) 발급받는 방법
먼저 카카오톡 지갑을 만들어야 해요.
1. 카카오톡 앱을 열고, 오른쪽 아래 점 3개(…) 버튼을 눌러 "지갑"을 찾아 들어가 보세요.

2. 약관에 동의하고 본인 인증을 하면 지갑이 짠! 하고 만들어집니다. 만약 "지갑" 항목이 없다면, 카카오톡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해 보세요.
이제 소득금액증명원을 발급받을게요.
3. 카카오톡 지갑에서 → 전자문서 항목의 → "전자증명서" 발급을 눌러 들어갑니다.
4. 발급받고 싶은 증명서를 선택하고

5. 필요한 정보를 입력합니다. 소득금액증명원은 발급 용도를 선택하고 증명 기간, 발급 내용에서 주민등록번호 표시나 주소 표시, 그리고 정보 동의를 체크하고
- 발급 용도는 관공서 제출용, 국민건강보험공단 제출용, 금융기관 제출용, 대출용, 수금용, 신용카드 발급용, 여권 또는 비자 신청용, 입찰, 계약용, 기타, 해당 없음 중에 선택합니다. 별다른 용도가 없으면 기타, 본인 확인용처럼 항목이 없으면 해당 없음을 선택하면 됩니다.
- 증명기간은 어느 연도의 소득액이 필요한지 선택하는 항목입니다. 2025년 3월에는 아직 종합소득세를 신고하지 않아서 2024년 소득증명은 선택할 수 없고 2023년을 선택해야 합니다.
6. 본인 인증을 다시 한번 하면 전자증명서가 발급 완료! 🎉

관련 글
서울 미쉐린 가이드 가성비 좋은 맛있는 라멘집 4곳 추천
#2. 전자증명서 저장하고 제출하는 방법
발급받은 전자증명서는 제출 기관을 선택해서 바로 제출하거나 저장했다가 직접 제출해도 되고, 나중에 필요할 때 제출할 수 있습니다.
제출 방법은 보통 QR코드 스캔이나 링크 공유 방식 또는 직접 선택해서 제출하는 방식입니다.

1. 제출 기관명을 검색해서 원하는 기관을 선택하고 "보내기"를 합니다.
2. 보내기 하면 "문서열람용 번호"가 나타납니다.
- 이 번호를 메모했다가 서류를 받는 담당자에게 알려줘야 확인이 쉽습니다. 왜냐하면 보내온 파일이 워낙 많아서 우리가 보낸 파일을 번호로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저장하기를 하면
- 휴대폰에 PDF 파일로 저장되며 중요한 서류는 비밀번호 설정하여 저장하기를 선택하면 됩니다.
- 저장된 파일은 언제나 다시 확인할 수 있고 원하는 기관에 보낼 수 있습니다.
- 전자증명서는 유효기간(날자)이 있습니다.
참고로 정부 24 앱이나 다른 곳 예를 들어 페이코, 토스, 네이버 등에서 받은 전자증명서도 카카오톡 지갑으로 보낼 수 있습니다.
전자증명서 주의할 점
본인 인증이 필수! 전자증명서는 개인 정보가 담겨 있기 때문에 본인 인증 절차가 꼭 필요하며 함부로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거나 공유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전자증명서마다 유효 기간이 있는데, 위에 보면 89일 남았다고 되어 있죠. 사용하기 전에 꼭 확인해 보도록 하세요.
카카오톡 전자증명서는 우리 생활을 훨씬 편리하고 안전하게 만들어주는 똑똑한 서비스로 종이 서류 대신 카카오톡 전자증명서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도록 하자고요. 혹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물어봐 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