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병법에서 유래된 사자성어와 유명한 고사성어 39가지 해설, 의미 모음입니다.
손자병법 사자성어/고사성어 해설 39가지 모음
손자병법에서 유래한 사자성어와 고사성어 모음
1. 지피지기(知彼知己)
손자병법 모공 편에 나오는 고사성어로,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고 사용합니다. 적(敵)의 사정(事情)과 나의 사정(事情)을 자세(仔細/子細) 히 알면 백 번 싸워도 백 번 이길 수 있다는 뜻입니다.
2. 병문졸속(兵聞拙速)
손자병법 제2 작전 편에 나오는 말로, 전쟁에 나갈 때는 졸렬하여도 빠른 것이 좋다는 말로 전쟁을 이기려면 속전속결로 빨리 끝내야 유리하다는 뜻입니다.
3. 우직지계(迂直之計)
손자병법 군쟁 편에 나오는 말로, 가까운 길을 바로 질러가지 않고 돌아갈 줄도 알아야 한다는 뜻으로 눈앞의 성과보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세상을 보는 눈이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
4. 제36계 주위상(走为上)
때로 후퇴도 필요하다는 제36계 중 마지막 계책으로 계획적으로 후퇴하여 후퇴를 진격으로 삼고 기회를 노려 적을 섬멸한다는 뜻입니다.
5. 제35계 연환계(连环计)
간첩을 적에게 보내어 계교를 꾸미게 하고, 그사이에 자신은 승리를 얻는 계교. 중국 삼국 시대에 오나라의 주유(周瑜)가 위나라 조조의 군사를 불로 공격할 때에, 방통(龐統)을 보내어 조조의 군함들을 쇠고리로 연결시키게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6. 제34계 고육계(苦肉计)
자기 몸을 상해 가면서까지 꾸며 내는 계책이라는 뜻으로, 어려운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꾸며 내는 계책을 이르는 말.
7. 제33계 반간계(反间计)
적의첩자를 역 이용 한다. 두 사람이나 나라 따위의 중간에서 서로를 멀어지게 하는 술책.
8. 제32계 공성계(空城计)
빈 성으로 유인하는 공성계는 제32계로 성을 방어할 능력이 없을 때 적으로 하여금 매복을 의심하여 전진하지 못하게 한다는 뜻입니다.
9. 제31계 미인계(美人計)
미녀를 이용하여 적을 대한다.
10. 제30계 반객위주(反客为主)
주인과 손님이 바뀌다. ‘손님이 도리어 주인(主人) 노릇을 한다.’는 뜻으로, 이른바 주객(主客)이 뒤바뀌는 것이니, 자신(自身)의 수동적(受動的)인 상황(狀況)을 능동적(能動的)으로 바꾸어서 주도권(主導權)을 장악(掌握)하는 전략
11. 제29계 수상개화(树上开花)
나무에 꽃을 피우게 한다.
12. 제28계 상옥추제(上屋抽梯)
지붕에 올라 사다리를 없앤다. 더 이상 물러날 때가 없을 때 더 큰 힘이 나오는 것과 같이 조직을 일부러 막다른 곳에 몰아놓고 더 이상 오도 가도 못하게 하여 전력을 강화하는 방법입니다. 타고 온 배를 침몰시켜 병사들에게 긴장감을 조성해 싸우게 하는 파부침주(破 釜沈舟)와 비슷합니다.
13. 제27계 가치부전(假痴不癫)
거짓으로 미친척한다. 자신의 어리숙함을 가장하여 상대방을 안심시킨 후 접근하여 자신이 얻고자 하는 바를 얻는다는 뜻입니다.
14. 제26계 지상매괴(指桑骂槐)
뽕나무를 가리키며 홰나무를 욕하듯이 상대에게 위협을 주어 복종하게 만드는 계략이다. 원문에 강대국이 약소국에게 겁을 주어 복속시키려면 경고하는 방법으로 이러한 방법을 흔히 사용함
15. 제25계 투량환주(偸梁換柱)
대들보를 훔치고 기둥을 빼낸다. 진짜를 몰래 가짜로 바꿔 목적을 이룬다는 뜻
16. 제24계 가도벌괵(假道伐虢)
기회를 빌미로 세력을 키운다. 일단 동맹을 맺어 이용한 뒤 이용가치가 없어지면 공격해 멸망시키는 것
17. 제23계 원교근공(远交近攻)
먼 나라와 친교를 맺고 가까운 나라를 공격함.
18. 제22계 관문착적(关门捉贼)
퇴로를 차단하고 잡는다. 문을 닫고 도적을 잡는다는 것으로, 약한 적에게는 포위 섬멸의 계략을 쓴다. 원뜻은 도적이 물건을 훔치러 들어오면 문을 잠가야 잡히게 된다는 뜻이다.
19. 제21계 금선탈각(金蝉脱壳)
‘매미가 허물을 벗다.’는 뜻으로, 껍질은 그대로 있고 몸만 빠져나가는 것처럼, 일촉즉발(一觸卽發)의 위기(危機) 상황(常況)에서 허세(虛勢)를 꾸며 벗어남을 이르는 말.
20. 제20계 혼수모어(混水摸鱼)
물을 탁하게 한 뒤에 고기를 잡는다는 뜻으로, 상대를 혼란에 빠뜨린 뒤에 기회가 오기를 기다려 목적을 달성함을 이르는 말.
관련 글
21. 제19계 부저추신(釜低抽薪)
가마솥 밑에서 장작을 꺼낸다. 솥 밑의 장작을 빼낸다는 뜻으로, "장작을 꺼내 물이 끓는 것을 그치게 하고, 풀을 먼저 베고 그 뿌리를 뽑는다"에서 나온 말이다. 즉, 적의 계략을 근본적으로 부수어 버리라는 뜻
22. 제18계 금적금왕(擒敌擒王)
도둑을 잡으려면 두목을 잡아라. 적과 싸울 때는 두목을 먼저 잡아야 한다.
23. 제17계 포전인옥(抛砖引玉)
벽돌을 던져 옥을 유인해 낸다. 좋아 보이거나 비슷해 보이는 미끼를 유인책으로 먼저 제시한 뒤에 여기에 속은 어리석은 적을 쳐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작전이나 전술을 이르는 말.
24. 제16계 욕금고종(欲擒故纵)
큰 이득을 위해 작은 것은 과감하게 내어준다. 상대방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때로는 먼저 양보하라는 의미.
25. 제15계 조호리산(調虎離山)
산에서 호랑이를 유인해 낸다. 적을 유리한 장소나 진지로부터 유인해 내어 그 허점을 이용하여 공략하다.
26. 제14계 차시환혼(借尸还魂)
주검을 빌려 영혼을 찾아온다는 뜻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나 이용을 해서 뜻하는 바를 실현시키는 것을 말함.
27. 제13계 타초경사(打草驚蛇)
풀을 헤쳐 뱀을 놀라게 한다는 뜻으로 자객이 있는 곳을 알아내고 그를 놀라 움직이게 하여 죽인다.
28. 제12계 순수견양(顺手牵羊)
기회를 타서 물건을 슬쩍 가지다. 적과 대치하여 승리를 거둘 수 없자 수도가 빈 허점을 발견하고 수도를 공격한다.
29. 제11계 이대도강(李代桃僵)
자두나무가 복숭아나무를 대신하여 넘어진다라는 뜻으로 작은 손해를 보는 대신 큰 승리를 거두게 한다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
30. 제10계 소리장도(笑裏藏刀)
웃는 마음속에 칼이 있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웃고 있으나 마음속에는 해칠 마음을 품고 있음을 이르는 말.
31. 제9계 격안관화(隔岸观火)
앉아서 강 건너 불구경한다는 뜻. 적 내부의 갈등을 지켜보며 어부지리를 얻는다는 의미.
32. 제8계 암도진창(暗渡陳倉)
길을 닦는 척하면서 다른 곳을 공격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 정면에서 적을 견제하고 우회로 돌아 기습공격을 한다는 뜻
33. 제7계 무중생유(無中生有)
지혜로운 자는 무에서 유를 창조한다. 없는 사실을 날조하여 모함한다는 뜻. 전쟁에서 허위 사실을 퍼트려 적을 유인함을 말합니다.
34. 제6계 성동격서(声东击西)
동쪽에서 소리 지르고 서쪽에서 공격한다. 적을 유인하여 이쪽을 공격하는 체하다가 그 반대쪽을 치는 전술을 이르는 말.
35. 제5계 진화타겁(趁火打劫)
남의 집에 불난 틈을 타 도둑질함. 적이 중대한 위기에 처했을 때, 그 기회를 이용해 적을 패배시킨다. 또는 적이 위기에 처하도록 만들어 그 기회를 이용해 공격한다.
36. 제4계 이일대로(以逸待劳)
편안함으로써 피로해지기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편안(便安)하게 휴식(休息)을 취(取)하여 전력(戰力)을 비축(備蓄)하고 나서 피로(疲勞)해진 적(敵)을 상대(相對)한다는 말.
37. 제3계 차도살인(借刀杀人)
남의 칼을 빌려 사람을 해침. 남의 힘을 빌려 적을 치는 것은 자신의 힘을 쓰지 않고 일이 진행되도록 하는 음험한 수단을 씀.
38. 제2계 위위구조(围魏救赵)
위(魏) 나라를 포위하여 조(趙) 나라를 구원하다; 포위군의 근거지를 공격함으로써 포위당한 우군을 구출하다. [위나라가 조나라의 수도 한단(邯鄲)을 포위 공격하자, 제(齊) 나라가 위나라의 본거지를 포위 공격하여 조나라를 구원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함]
39. 제1계 만천과해(瞒天过海)
하늘을 가리고 바다를 건너다. 적이 전혀 예상하지 못한 방법을 동원해 승리를 거두는 계책.
이상은 손자병법 사자성어 해설로 39가지 고사성어 모음입니다.
댓글